줄거리
이민진 작가의 『파친코』는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4대에 걸친 재일동포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가난한 집의 막내딸 양진은 돈을 받고 언청이에 절름발이인 훈이와 결혼한다. “여자의 인생은 고생길”이라는 말을 반복하면서도 그러한 인생을 숙명처럼 받아들이는 양진은 남편 훈이와 함께 하숙집을 운영해나가며 불평 한마디 하지 않는다. 그녀는 온갖 궂은일을 다 하면서 유일한 자식이자 비장애인으로 태어난 딸 선자를 묵묵히 키워나간다. 부모의 살뜰한 보살핌과 사랑을 받고 자란 선자는 안타깝게도 엄마 나이 또래의 생선 중매상 한수에게 빠져 결국에는 한수가 유부남이라는 사실도 모른 채 그의 아이를 임신하고 만다. 불행의 나락에 빠진 선자는 목사 이삭이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면서 구원을 받게 되고, 둘은 새로운 인생을 위해 이삭의 형 요셉 부부가 사는 일본의 오사카로 향한다. 일본에서 한수의 핏줄인 첫째 노아와 이삭의 핏줄인 둘째 모자수를 낳은 선자는 친정엄마인 양진처럼 여자로서의 인생은 잊어버린 채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삶을 고생스럽게 살아간다.
선자의 형님인 경희는 어쩌면 기구한 삶을 살아가는 양진과 선자보다도 더 힘든 인생을 사는 여자인지도 모른다. 경희는 불임으로 자신의 아이를 갖지 못하지만 남편에게 충실하며 가족들을 살뜰하게 보살핀다. 불의의 사고로 찾아온 불행 앞에서도 그 운명을 탓하지 않고 받아들이며 수용한다. 《파친코》에 등장하는 세 여성은 강인한 어머니이자 아내의 모습을 보여주며, 한편으로는 남편과 자식에게 헌신하는 전통적인 여성상이라는 굴레가 얼마나 한 여성의 삶을 안쓰럽게 만드는지도 보여준다.
인생이라는 이름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비단 이 세 여성들만이 아니다. 선자의 남편인 이삭은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을 희생해야 한다는 굴레에 묶여 있었고 경희의 남편 요셉은 가정을 책임져야 하는 것은 남자라는 자신만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선자의 소중한 두 아들인 노아와 모자수는 일본에서 태어나 일본 이름을 가졌음에도 일본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경시당하고 차별받는 삶의 굴레를 짊어지고 살아간다. 다만, 이 두 아이는 그러한 현실을 각자의 가치관에 근거해 다르게 받아들이고 다른 방식으로 풀어나간다. 노아는 자신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환경을 극복하고자 공부에 파고들고, 모자수는 조선계 일본인에 대한 경멸과 괄시에 폭력적으로 대응한다. 그러나 일본 아이들보다 훨씬 뛰어난 성적을 보이고 착실하게 일하여 많은 돈을 벌어도 그들을 바라보는 일본인들의 시선은 조금도 달라지지 않았다. ‘자이니치’라는 편견은 두 사람이 아무리 애쓰고 발버둥 쳐도 헤어 나올 수 없는, 평생 짊어지고 가야 하는 굴레였다
감상평
책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과 감정이 들었습니다. 재일동포들이 겪은 역사적 문제의식과 인간적 감정을 심도 있게 다루는 이 작품은 작가는 재일동포들의 삶을 현실적이면서도 따뜻하게 그려내면서 독자들에게 공감과 감동을 전달합니다. 소설 속 인물들은 자신들의 존재와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희생하며, 가족과 사랑을 지키기 위해 힘겨운 선택을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부분은 재일동포들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고, 그들에 대한 인식과 대화를 촉진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파친코』는 장르를 뛰어넘는 명작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애플티비에서는 드라마 콘텐츠로 제작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것도 정말 재미있게 보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특히 윤여정님의 연기가 인상깊게 남아있습니다.
보면서 몇번이나 눈시울이 붉어진 소설 『파친코』를 적극 추천합니다!
'문화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자에게』: 제주의 섬에서 실패와 치유의 이야기 (0) | 2023.05.08 |
---|---|
불타는 트롯맨 전국투어 콘서트 서울 투어 공연 후기! 트로트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0) | 2023.05.01 |
댓글